|
|
|
 |
 |
알뜰하게 모은 돈을 후세들을 위해 내놓으면서도 자신을 가리고 내민 따뜻한 손길이 있다. |
 |
[아이콘 설명]
아이콘은 출연자 총괄표의 번호를 나타내며 클릭시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아이콘을 클릭시 관련기사 및 확대사진을 보여줍니다. |
 |
최재성씨 |
신문에는 '80세의 최모'라고만 발표하라고 1985년5월에 최재성(崔在成)씨는 자녀들이 주는 용돈을 10년동안 모은 100만원을 기탁하였다. 최재성씨는 이 기금을 자신이 100세가 되는 2005년부터 기술인 양성에 도움이 되게 써 달라고 당부하였다. |
|
15  |
|
|
|
|
|
|
 |
김인배씨 |
'대학졸업후 첫 취직 첫 월급부터 1년간을 조금씩 적금한 돈입니다' 라고 당시 1986년 당시 26세인 김인배(金寅培)씨는 100만원에 이자가 붙은 돈을 고스란히(1,009,298원) 고아 진학 장학금에 쓰라고 보내면서 이름 발표를 사양해 '김모'라고 만 발표하였다. |
|
25  |
|
|
|
|
|
|
 |
장경석씨 |
'나도 어렵게 자랐고 지금도 집없는 월급생활이지만'하고 1986년에 8월에 당시 33살인 장경석(張炅錫)씨는 월급에서 조금씩 모은 돈 100만원을 불우한 환경에서 공부하는 학생을 돕는데 써 달라고 익명으로 기탁하였다. |
|
28  |
|
|
|
|
|
|
 |
김혜정씨 |
1987년4월 3년간의 계획이 여물어 목돈이 되자 잠시나마 마음의 갈등이 생겨 스스로의 약속을 깨뜨릴뻔 하였다는 김혜정(金惠禎)씨는 베푸는 용기를 갖게된 기쁨과 감사의 사연과 함께 이름 가린 아름다움이 곁들인 꿈나무 기금 100만원을 보내왔다. |
|
36  |
|
|
|
|
|
|
 |
은현수씨 |
동아일보 64주년 기념 특집에서 꿈나무 기금에 대한 기사를 읽고 동참하고 싶어졌다고 1984년4월에 은현수씨는 자신의 이름을 밝히지 말라고 하면서 푼푼이 모은 32만여원을 기탁하였다. |
|
46  |
|
|
|
|
|
|
 |
이종일씨 |
1985년 7월 공무원이며, 교회집사로 활동중인 이종일씨도 이름을 밝히지 말라고 당부하면서 20만원을 기탁하였다. |
|
47 |
|
|
|
|
|
|
 |
신기술씨 |
전북 정주시에 거주하는 '정읍의 익명의 건축가'라고 만 밝히라고 한 신흥건설 대표이사 신기술씨는 1990년4월과 1995년6월의 2회에 200만원을 보내면서 장애학생을 위해 써 달라고 당부하였다. |
|
68  |
|
|
|
|
|
|
 |
김지욱씨 |
대한불교 미륵종의 신앙인이며, 한의사인 김지욱(金址旭)씨는 1999년5월에 1000만원을 기탁하면서 이름을 발표하지 말도록 당부하며 당시 익명의 독지가로만 기사화하였다. |
|
193  |
|
|
|
|
|
|
 |
최종벽씨 |
경기 여주 출신 법무사라고만 밝혀달라고 한 최종벽(崔鐘壁)씨는 2000년3월에 불우청소년을 위한 꿈나무 기금 100만원을 기탁하였다. |
|
205 |
|
|
|
|
|
|
 |
출연자 이모저모 리스트
|
|